C언어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되는 char, short, int, double 같은 것들을 자료형(Data Type) 이라고 부릅니다.
그리고 이러한 자료형으로 선언한 변수들을 출력하고싶을 때가 있는데, 이 때 변수들을 어떻게 보여줄 지 정해주는 특별한 코드가 서식지정자 입니다.
오늘은 자주 사용되는 자료형 별 서식지정자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.
1. 자료형 별 서식지정자
구분 | 자료형 | 크기(Byte) | 서식지정자 | 비고 |
정수형 | char | 1 | %c | ASCII Code와 매칭되는 문 출력 |
%d | ASCII Code와 매칭되는 정수 출력 | |||
%s | 문자배열에 대해서 출력 가능 | |||
unsigned char | 1 | %c | ASCII Code와 매칭되는 문 출력 | |
%u | ASCII Code와 매칭되는 정수 출력 | |||
%s | 문자배열에 대해서 출력 가능 | |||
short | 2 | %d | ||
unsigned short | 2 | %u | ||
int | 4 | %d | ||
unsigned int | 4 | %u | ||
long | 4 | %ld | ||
unsigned long | 4 | %lu | ||
long long | 8 | %lld | ||
unsigned long long | 8 | %llu | ||
실수형 | float | 4 | %f | |
double | 8 | %lf | %f도 사용 가능 | |
long double | 8 | %Lf |
위의 정리한 표 이외에 자료형 별로 사용 가능한 서식 지정자들이 더 있지만 자주 쓰는 것들 위주로 정리해보았습니다.
2. 아스키 (ASCII)
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
3. 도움이 될만한 추가 팁들
1) %#x : 출력 시 0x 가 붙음
2) %#X : 출력 시 0X 가 붙음
3) %.Nf : 소수점 아래 N자리까지 출력
4) %5d : 총 5자리 폭으로 오른쪽 정렬 출력
5) %-4d : 총 4자리 폭으로 왼쪽 정렬 출력
6) \t%d : 출력 앞에 Tap 추가
7) %p : 포인터의 주소 출력 서식지정자
가끔 Coding을 하다보면 자료형 별 서식지정자에 대해서 기억이 가물가물할때가 있는데, 그때마다 참고하기 위해 적어보았습니다.
추가적으로 도움이 될만한 내용들이 생각나면 업데이트 해보겠습니다.
'코딩, 업무스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맞춤법 #1] ~로서 / 로써, ~대 / 데, 않 / 안 (0) | 2024.11.16 |
---|---|
[C, C++] 변수명 선언 규칙 (feat. 헝가리안 표기법) (1) | 2024.09.27 |
업무에 도움되는 엑셀 단축키 (1) | 2024.09.26 |
자주 사용하는 리눅스 명령어 10가지 (0) | 2024.09.23 |